깡뇽

[WEB] 인터넷 본문

Web

[WEB] 인터넷

깡뇽 2022. 4. 19. 06:28
반응형

생활코딩의 인터넷 영상들을 보고 혼자 정리한 내용입니다.

 

[ 인터넷 ]

- IP(Internet Protocol) 주소

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들은 서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 IP 주소를 가지고 있음.

CMD에 ping google.com(도메인 주소) 이라고 입력하면 google에 접속할 수 있는 IP를 확인할 수 있음.

클라이언트(요청을 보내는 쪽)와 서버(요청을 받는 쪽)는 모두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함.

 

- DNS(Domain Name System)

네임 서버에 먼저 접속해서 접속하기를 원하는 서버의 IP를 얻을 수 있음.

즉, 도메인을 사용하고 싶다면 도메인을 구입하여 네임 서버에 등록해야 함.

 

[ IPv6 ]

My IP를 검색해서 찾아서 사용하려해도, 1. 공인 IP를 사용중이거나 2. 사설 IP를 사용중이라서 사용이 되지 않을 것임.

0.0.0.0 ~ 255.255.255.255에서 42억개의 IP주소가 생성될 수 있음.

1. IPv6는 새로운 주소 체계로 IPv4(우리가 알고 있는 흔한 IP 형태)로 인한 IP 고갈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. 

2의 128승만큼의 IP 주소를 생성할 수 있음.

2. 사설 IP 문제

공유기 때문?!

공유기를 통해 여러 컴퓨터가 하나의 회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음. 노트북은 wifi의 형태로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음.

공유기는 IP 주소를 가지고 있음. My IP를 찾아봤을 때에 나온 IP는 공유기의 IP임.

통신 케이블을 통해 공유기에만 접속한 것임.

하나의 공인 IP로 사설 IP를 만들어낼 수 있음.

=> 포트포워딩(port forwarding) 을 통해 모든

- 포트(Port)

포트 안에 웹 서버가 설치되어 있음. 

- 포트포워딩 

사용자의 접속을 토스해줌.

 

[포트포워딩]

WAN(통신사와의 케이블-공인IP)

컴퓨터 케이블(LAN1) . . .

192.168.0.1(공유기) -> 포트포워드 설정 

ipconfig - IPv4 주소 

외부 포트 & 내부 포트 - 80

 

[절대경로와 상대경로]

절대경로 - 나의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하고 싶을 때

상대경로 - 나의 위치에 따라서 사용하고 싶을 때 

 

[유동IP와 DDNS]

한정된 IP로 인해 유동적으로 IP를 부여.

DDNS(Dynamic DNS) : 지속적으로 IP를 네임 서버에 알려줌. 즉, DDNS는 도메인과 호스트의 IP를 지속적으로 동기화.

반응형